Search In this Thesis
   Search In this Thesis  
العنوان
한국어와 아랍어 인칭 대명사 대조 연구
장난감 도시” 및 ”새 카이로 /
المؤلف
درويش، سلمى صلاح الدين حبيب أحمد.
هيئة الاعداد
باحث / سلمى صلاح الدين حبيب أحمد درويش
مشرف / جونج يونج إن
مشرف / فكرى محمد سليمان
مناقش / فكرى محمد سليمان
تاريخ النشر
2019.
عدد الصفحات
216ص. :
اللغة
الكورية
الدرجة
ماجستير
التخصص
اللغة واللسانيات
تاريخ الإجازة
1/1/2019
مكان الإجازة
اتحاد مكتبات الجامعات المصرية - اللغة الكورية
الفهرس
Only 14 pages are availabe for public view

from 216

from 216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와 아랍어의 인칭대명사를 연구하는 목적으로 한다. 양 언어의 형태적. 통사적. 화용적 측면에서 대조를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고는 여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양 언어의 인칭대명사와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자 하고 연구 방법 및 범위를 제시하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우선 한국어 인칭대명사 체계에 대한 학자의 견해를 알아본 다음에 이론서를 바탕으로 한국어 인칭대명사의 형태적. 통사적인 관점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형태적인 관점으로는 주로 각각 인칭대명사의 체계 기준과 형태 변화와 복수형이 표현되는 방식에 대해 다루고 통사적인 관점으로는 주로 문장 종결어미와 호응 관계와 일부 용언과 제약에 대해 다룬다. 그 다음에 화용적 용법을 ‘생략 현상’ 및 ‘인칭지시’ 두 측면에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먼저 아랍어 인칭대명사의 정의와 체계에 대한 학자의 견해를 살펴보고 나서 이론서를 바탕으로 한국어 인칭대명사의 형태적. 통사적인 관점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형태적인 관점으로는 주로 각각 인칭대명사의 체계 기준과 형태 원형에 대한 학자 견해와 인칭대명사 형성법에 대해 다루고 통사적인 관점으로는 주로 격에 따라 선택과 모음 부호와 동사와 결합하는 접사나 인칭대명사를 따라오는 명사와 일치 관계에 대해 다룬다. 그 다음에 화용적 용법을 ‘생략 현상’ 및 ‘인칭지시’ 두 측면에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앞 장에서 한국어와 아랍어 인칭대명사의 형태적. 통사적. 화용적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이 장에서는 인칭대명사 대조 분석을 통해서 양 언어가 가지고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응용 부분으로서 한국 소설인 ‘장난감 도시’ 및 아랍 소설인 ‘새 카이로’의 한국어와 아랍어의 인칭대명사를 위주로 분석하여 본고의 목적과 주장을 검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본론의 중요한 요점을 재정리하면서 결론을 내리도록 하겠다.
주제어: 대조분석, 한국어 인칭대명사, 아랍어 인칭대명사, 형태적.통사적 특징, 생략 현상, 인칭지시